고대 한반도의 언어와 문자에 대한 보고서를 요약하자면, 고대 한반도에서는 여러 종류의 언어와 문자가 사용되었으며, 가장 대표적으로 알려진 것은 한글과 한자입니다.
한글: 1443년에 조선의 세종대왕에 의해 창제된 한글은 고유한 음소 체계를 기반으로 하며,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문자로 평가받습니다. 한글은 사회 전 계층의 문해율을 높이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기존 한자를 대체하려는 목적도 있었습니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각 글자는 음절을 단위로 쓰여집니다.
한자: 한반도에는 BC 4세기경 중국으로부터 전해진 것으로 추정되며, 연대가 오래된 고조선 및 후기의 국가들에서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유학의 영향을 받은 귀족이나 지식인 계층에서 주로 사용했고, 고대 한반도의 관련 기록 대부분은 한자로 쓰였습니다.
향찰(鄕札)과 이두(吏讀): 한자를 한반도의 고유한 언어의 발음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한 기법입니다. 향찰은 부계층의 언어를 기록하기 위해 한자를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이두는 한자의 음과 뜻을 결합해 고유 언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며, 고려 시대에 널리 쓰였습니다.
향가: 신라시대의 한문학적 양식을 띤 우리말 시가로 8세기에서 9세기에 걸쳐 작성되었습니다. 향가는 한시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고유의 정서와 생활이 반영된 문학 형태를 보여 줍니다. 현재 남아 있는 향가는 모두 중세국어의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가집니다.
고대 한반도의 언어와 문자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 중이며, 이는 고대 동아시아 문화와 언어 교류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입니다.